리눅스
Redjini WiKi
- 리눅스 명령어 > awklinux/cmd/awk
- 리눅스 명령어 > chkconfiglinux/cmd/chkconfig
- 리눅스 명령어 > datelinux/cmd/date
- 리눅스 명령어 > freelinux/cmd/free
- 리눅스 명령어 > iostatlinux/cmd/iostat
- 리눅스 명령어 > lastlinux/cmd/last
- 리눅스 명령어 > lastblinux/cmd/lastb
- 리눅스 명령어 > lastloglinux/cmd/lastlog
- 리눅스 명령어 > lsoflinux/cmd/lsof
- 리눅스 명령어 > pidoflinux/cmd/pidof
- 리눅스 명령어 > uptimelinux/cmd/uptime
run level
| 런 레벨 | 의미 |
|---|---|
| 0 | 시스템 중단(Halt) |
| 1 | 텍스트 기반의 단일 사용자 모드(single user mode) |
| 2 | 사용되지 않음(사용자가 지정 가능) |
| 3 | 텍스트 기반의 다중 사용자 모드 |
| 4 | 사용되지 않음(사용자가 지정 가능) |
| 5 | X 윈도 기반의 다중 사용자 모드(로그인도 X 윈도에서 이뤄짐) |
| 6 | 시스템 리부팅 |
Console에서 BEEP 사운드 끄기
- /etc/inputrc 파일에
set bell-style none- 추가
console log
stderr -> stdout
cmd >>file.txt 2>&1
현재 사용자의 쉘변수 확인하기
PS1 변수에 사용되는 기호들과 그 의미
| 쉘변수 기호 | 의미 |
|---|---|
| \t | 24시간의 단위로 현재시각을 HH:MM:SS 로 표시 |
| \T | 12시간의 단위로 현재시각을 HH:MM:SS 로 표시 |
| \@ | 12시간의 단위로 현재시각을 오전/오후 로 표시 |
| \d | 현재 날짜를 나타냄. 요일, 월, 일 형식으로 |
| \s | 현재 사용중인 쉘의 이름을 나타냄 (C쉘이면 /bin/csh, bash쉘이면 /bin/bash) |
| \w | 현재 디렉토리의 전체 절대경로를 모두 표시함 |
| \W | 현재 디렉토리의 전체 절대경로명 중 마지막 디렉토리명만을 표시함. 즉 현재디렉토리만 표시함 |
| \u | 사용자명을 표시함 |
| \h | 서버의 호스트명을 표시함 (www.uzuro.com에서 www 부분) |
| \H | 서버의 도메인명을 표시함 (www.uzuro.com에서 uzuro.com 부분) |
| \# | 접속한 순간부터 사용한 명령어의 번호를 1번부터 차례대로 표시함 |
| \! | 사용한 명령어의 history 번호를 표시함 |
| \\$ | 현재 사용자가 root(uid 가 0 )이면 # 을 표시하고 아니면 $ 를 표시함 |
| \\ | '\' 문자 자체를 표시함 |
| \a | ASCII 종소리 문자 (07) |
| \e | ASCII 의 escape 문자 (033) |
| \n | 개행문자 (줄바꿈) |
| \v | 사용중인 bash 의 버전 |
| \V | 사용중인 bash 의 배포, 버전+패치수준으로 버전을 상세히 표시함 |
| \r | Carrage retrun |
| \nnn | 8진수 nnn 에 해당하는 문자 |